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었으며, 1997년 12월에 열린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의 세 번째 대회이다. 이 대회에는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하여 1994년 FIFA 월드컵 우승팀 브라질, 1995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팀 우루과이,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팀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6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팀 오스트레일리아, UEFA 유로 1996 준우승팀 체코, 1996년 CONCACAF 골드컵 우승팀 멕시코, 1996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팀 아랍에미리트 등 총 8개 팀이 참가했다. 브라질이 결승전에서 호주를 6-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호나우두와 호마리우가 각각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은 1997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된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멕시코,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체코, 아랍에미리트, 남아프리카 공화국, 우루과이 등 각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과 감독 정보를 제공하는 문서이다.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27년 AFC 아시안컵
2027년 AFC 아시안컵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되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의 19번째 아시안컵이며, 사우디아라비아가 유일한 개최국으로 선정되어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과 통합 진행하고, 24개 팀이 참가하며 대한민국, 일본, 이란, 호주 등이 진출한다.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34년 FIFA 월드컵
2034년 FIFA 월드컵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개최될 예정으로, 아시아에서 세 번째이자 중동 지역에서 두 번째로 열리는 월드컵이지만, 개최 결정은 인권 및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
연도 | 1997년 |
다른 명칭 | كأس القارات 1997 (아랍어) |
![]() | |
개최국 | 사우디아라비아 |
개최 도시 | 리야드 |
개최 기간 | 12월 12일 – 12월 21일 |
참가 팀 수 | 8 |
참가 연맹 수 | 6 |
경기장 수 | 1 |
도시 수 | 1 |
결과 | |
우승 | 브라질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 오스트레일리아 |
3위 | 체코 |
4위 | 우루과이 |
통계 | |
총 경기 수 | 16 |
총 득점 수 | 52 |
총 관중 수 | 333500 |
득점왕 | 로마리우 (7골) |
최우수 선수 | 데니우송 |
페어플레이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1995년 |
다음 대회 | 1999년 |
2. 참가국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는 총 8개국이 참가했다. 각 대륙별 축구 연맹에서 주관하는 대회 우승 팀들과 1994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그리고 개최국이 참가 자격을 얻었다.
2. 1. 참가 자격 및 팀 선정
팀 | 연맹 | 참가 자격 | 참가 횟수 |
---|---|---|---|
사우디아라비아 | AFC | 개최국 및 1996년 AFC 아시안컵 우승 | 3회 |
브라질 | CONMEBOL | 1994년 FIFA 월드컵 우승 | 1회 |
우루과이 | CONMEBOL | 1995년 코파 아메리카 우승 | 1회 |
멕시코 | CONCACAF | 1996년 CONCACAF 골드컵 우승 | 2회 |
남아프리카 공화국 | CAF | 199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 1회 |
체코 | UEFA | UEFA 유로 1996 준우승[4] | 1회 |
오스트레일리아 | OFC | 1996년 OFC 네이션스컵 우승 | 1회 |
아랍에미리트 | AFC | 1996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4] | 1회 |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회 정보' 섹션에 포함될 만한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작성할 내용이 없다.
UEFA 유로 1996 우승 팀인 독일이 참가를 거부하여 준우승 팀인 체코가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4]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가 1996년 AFC 아시안컵 우승을 차지함에 따라, 준우승 팀인 아랍에미리트가 참가하게 되었다.[4]
3. 대회 정보
3. 1. 개최 도시 및 경기장
도시 | 경기장 이름 | 수용 인원 |
---|---|---|
리야드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 67,000명 |
모든 경기는 리야드에 위치한 67,000명 수용 규모의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열렸다.
3. 2. 대회 심판
국가 | 심판 |
---|---|
뤼시앵 부샤르도 | |
이언 매클라우드 | |
사드 카밀 알파들리 | |
피롬 안쁘라세릿 | |
니콜라이 레브니코프 | |
라메시 람단 | |
하비에르 카스트릴리 | |
레네 오르투베 |
3. 3. 시드 배정
같은 대륙별 축구 연맹에 속한 팀끼리는 같은 조에 넣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아시아 축구 연맹(AFC),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CONMEBOL)에 속한 팀들은 서로 다른 조에 배정되었다.포트 A | 포트 B | 포트 C |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3. 4. 선수 명단
과 템플릿은 제거해야 한다. 또한, 주어진 원문 소스에는 선수 명단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으므로,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따라서 원본 소스의 내용 중 섹션 제목과 관련된 정보를 찾을 수 없다는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다음은 수정된 출력 결과이다.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선수 명단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주어진 자료에서는 선수 명단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찾을 수 없다.
4. 조별 리그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AST)을 따른다.
조별 리그는 A조와 B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A조에서는 브라질과 호주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했고, B조에서는 우루과이와 체코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여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A조와 B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A조 | 브라질 | 3 | 2 | 1 | 0 | 6 | 2 | +4 | 7 |
호주 | 3 | 1 | 1 | 1 | 3 | 2 | +1 | 4 | |
멕시코 | 3 | 1 | 0 | 2 | 8 | 6 | +2 | 3 | |
사우디아라비아 (H) | 3 | 1 | 0 | 2 | 1 | 8 | -7 | 3 | |
B조 | 우루과이 | 3 | 3 | 0 | 0 | 8 | 4 | +4 | 9 |
체코 | 3 | 1 | 1 | 1 | 9 | 5 | +4 | 4 | |
아랍에미리트 | 3 | 1 | 0 | 2 | 2 | 8 | -6 | 3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3 | 0 | 1 | 2 | 5 | 7 | -2 | 1 |
'''(H)''' 개최국
4. 1. A조
'''(H)''' 개최국
- 1997년 12월 12일, 사우디아라비아는 브라질에 0-3으로 패배했다. 브라질의 세자르 삼파이우는 후반 20분에, 호마리우는 후반 28분과 35분에 각각 득점했다.[1]
- 같은 날, 멕시코는 호주에 1-3으로 패배했다. 호주의 비두카는 전반 45분에, 알로이지는 후반 14분에, 모리는 후반 45분에 득점했고, 멕시코의 에르난데스는 후반 35분에 페널티킥으로 득점했다.[2]
- 1997년 12월 14일, 사우디아라비아는 멕시코에 0-5로 패배했다. 멕시코의 팔렌시아는 전반 20분과 후반 17분에, 블랑코는 후반 23분과 31분에, 루나는 후반 30분에 득점했다.[3]
- 같은 날, 호주는 브라질과 0-0 무승부를 기록했다.[4]
- 1997년 12월 16일, 사우디아라비아는 호주에 1-0으로 승리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알킬라이위는 전반 40분에 득점했다.
- 같은 날, 브라질은 멕시코에 3-2로 승리했다. 브라질의 호마리우는 전반 41분에 페널티킥으로, 데니우송은 후반 16분에, 주니오르는 후반 21분에 득점했고, 멕시코의 블랑코는 후반 6분에, 라미레스는 후반 45분에 득점했다.
모든 경기는 리야드의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열렸다.
4. 2. B조
- 1997년 12월 13일 17:50 (AST)
- * 아랍에미리트 0 – 2 우루과이
- * 득점: 올리베라 , 파체코
- * 경기장: 킹 파흐드 II 스타디움, 리야드
- * 관중: 13,000명
- * 주심: 라메쉬 람드한 (트리니다드 토바고)
- 1997년 12월 13일 20:00 (AST)
- * 남아프리카 공화국 2 – 2 체코
- * 득점:
- ** 남아프리카 공화국: 어거스틴 , 음칼레레
- ** 체코: 슈미체르 ,
- * 경기장: 킹 파흐드 II 스타디움, 리야드
- * 관중: 7,500명
- * 주심: 하비에르 카스트릴리 (아르헨티나)
- 1997년 12월 15일 17:50 (AST)
- * 아랍에미리트 1 – 0 남아프리카 공화국
- * 득점: H. 무바라크
- * 경기장: 킹 파흐드 II 스타디움, 리야드
- * 관중: 11,000명
- * 주심: 르네 오르투베 (볼리비아)
- 1997년 12월 15일 20:00 (AST)
- * 체코 1 – 2 우루과이
- * 득점:
- ** 체코: 지글
- ** 우루과이: 올리베라 , 잘라예타
- * 경기장: 킹 파흐드 II 스타디움, 리야드
- * 관중: 9,000명
- * 주심: 사아드 마네 (쿠웨이트)
5. 결선 토너먼트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선 토너먼트는 4강전, 3·4위전, 결승전으로 구성되었다. 12월 19일에 열린 4강전에서는 브라질이 체코를 2-0으로 이겼고, 호주는 우루과이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었다.
12월 21일에는 3·4위전과 결승전이 열렸다. 체코는 우루과이를 1-0으로 꺾고 3위를 차지했으며, 브라질은 호주를 6-0으로 크게 이기고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5. 1. 4강전
1997년 12월 19일,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두 경기가 열렸다. 첫 경기는 브라질과 체코의 경기로, 호마리우와 호나우두의 연속골로 브라질이 2-0 승리를 거두었다.[1] 같은 날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해리 큐얼이 연장전에서 골든 골을 기록하며 호주가 우루과이를 1-0으로 꺾었다.[2]경기일 | 시간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자 (팀 1) | 득점자 (팀 2) | 경기장 | 관중 수 | 주심 |
---|---|---|---|---|---|---|---|---|---|
1997년 12월 19일 | 15:15 | 브라질 | 2 - 0 | 체코 | 호마리우 호나우두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 28,000명 | 뤼시앵 부샤르도 [1] | |
1997년 12월 19일 | 19:00 | 우루과이 | 0 - 1 (연장전) | 호주 | 큐얼 |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 22,000명 | 니콜라이 레브니코프 [2] |
5. 2. 3·4위전
1997년 12월 21일 17시 50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킹 파흐드 국제 경기장에서 체코와 우루과이의 3·4위전이 열렸다. 니제르의 뤼시앵 부샤르도 심판이 주심을 맡은 이 경기에서 27,000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체코가 라소타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5. 3. 결승전
1997년 12월 21일 리야드의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199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결승전에서는 브라질이 호주를 6-0으로 크게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 호나우두와 호마리우는 각각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브라질의 승리를 이끌었다. 이날 경기의 관중 수는 65,000명이었으며, 주심은 태국의 피롬 안쁘라세릿이 맡았다.{| class="wikitable"
|-
! 경기 정보
|-
|
- 날짜: 1997년 12월 21일
- 시간: 21:00 (UTC+3)
- 경기장: 킹 파흐드 국제경기장, 리야드
- 관중: 65,000명
- 주심: 피롬 안쁘라세릿 (태국)
|-
! 경기 결과
|-
|
|}
6. 최종 순위
7. 수상
상 | 수상 선수 · 팀 | 비고 |
---|---|---|
골든볼 (대회 MVP) | 데니우송 | 우승 |
실버볼 | 호마리우 | 우승 |
브론즈볼 |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 3위 |
골든 슈 (득점왕) | 호마리우 | 7득점 |
실버 슈 | 블라디미르 슈미체르 | 5득점 |
브론즈 슈 | 호나우두 | 4득점 |
페어 플레이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첫 번째 |
참조
[1]
웹사이트
FIFA Confederations Cup Saudi Arabia 1997 {{!}} Awards
https://web.archive.[...]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FIFA)
2017-10-20
[2]
웹사이트
Statistical Kit: FIFA Confederations Cup (FCC 2017 post-event edition) – Ranking by tournament
https://digitalhub.f[...]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7-07-10
[3]
웹사이트
Soccer Nostalgia: FIFA Confederations Cup-Part Five (1997 FIFA Confederations Cup)
http://soccernostalg[...]
2018-02-03
[4]
문서
優勝国の[[サッカードイツ代表|ドイツ]]が辞退したため、代わりに準優勝国の[[サッカーチェコ代表|チェコ]]が出場する事にな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